아미선사 명상 수행

자비선 명상

자비수관

자비손을 사용한 내적관찰
KakaoTalk_20240406_220106155_04(0001).jpg
자비수관(慈悲手觀)은 재가자를 위한 수행법으로써, 몸과 마음의 관찰을 통해 존재의 본질인 연기적 삶을 회복해나가는 불교수행으로 언제 어디서나 수행할 수 있습니다. 자비수관은 자비손의 자비심과 정렴(正念)의 알아차림이라는 관찰수단을 통하여 몸을 관찰함으로써 마음을 깨쳐가는 수행입니다. 이 수행은 자비손의 자비심으로 5대(흙·물·불·바람·허공)의 생명 에너지를 활성화하고 활성화되는 5대의 현상을 정념으로 관찰하여 삼법인 (무상(無常), 고(苦), 무아(無我))을 체득하게 되며 그 지혜로써 조작하는 의식의 활동이 사라지면서 무상(無相), 무원(無願), 공(空)의 삼해탈문에 들어서는 데 그 의의가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자비심입니다, 연기의 다른 표현인 자비심을 마음의 손에 가득 담아 내 몸에 전달함으로써 분노 불안 우울 등의 부정적인 감정과 영상 선악의 생각을 해소하고 마음의 안정을 빨리 얻게 하며, 몸을 구성하고 있는 5대의 기운이 생성, 활성화되고, 이때 몸에서 나타나는 5대의 반응에서 이러한 심리의 현상이 일정한 모양과 색깔이 없이 계속 변화해나가는 무상이며 괴로움이며 주재하는 자아가 없으며 고정된 실체가 없다는 무아의 진리를 보게 됨으로써 모든 속박으로부터 해탈해 갑니다.

수행을 하다보면 살아오면서 화내고 욕심냈던 마음에 따라 기혈이 막혀있던 몸이 자비심에 반응하면서 5대의 요소가 빠르게 나타나고 자비심에 의해 막혔던 기혈들이 열리면서 몸이 가벼워지고 편안해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렇게 몸과 마음이 상호관련 되어 있고 몸의 현상이 곧 마음의 현상임을 알아차리게 되고 번뇌 덩어리인 몸의 형태가 사라지고 마음만 남게 되면서 마음관찰을 통해 본격적인 대승수행의 길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특히 과거나 미래에 묻혀있던 의식을 정념을 통해 현재의식으로 깨어나게 하는 자비수관은 사마타(止)와 위빠사나(觀)를 병행하는 수행법입니다.

출처 : 법보신문(https://www.beopbo.com)
자비다선

차명상-오색차명상
오색차 명상

“수행 시작하기 전 앞서 쌓은 공덕과 오늘 쌓인 공덕이 
나와 이웃에 기쁨과 평안을 얻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모든 사람의 번뇌가 사라지기를 발원합니다. 

수행 끝날 때 
오늘 수행을 통해 얻은 공덕이 
나와 이웃에 기쁨과 평안한 마음으로 회향되기를 바라며, 
번뇌가 사라진 마음의 힘이 나와 
이웃에게 퍼지기를 발원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수행과정에서 
번뇌가 사라진 기쁨과 평안한 마음이 
일상에서 다른 어떤 마음보다 먼저 떠오르도록 수행합니다.”

지운스님의 < 명상 차(茶)를 논하다 > 중에서

아미선사에서는
차 명상 수행을 진행 합니다. 

매월 첫째주 토요일 오후 2시

차 명상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바라보고
나와 주변사람들의 기쁨과 평안한 마음으로 가득차기를
기원 합니다. 
KakaoTalk_20240406_220106155_01.jpg
오색차 명상 
KakaoTalk_20240406_220106155_02.jpg
KakaoTalk_20240406_220106155_04.jpg
KakaoTalk_20240406_220106155_05.jpg
KakaoTalk_20240406_220106155_07.jpg
KakaoTalk_20240406_220106155_08.jpg
KakaoTalk_20240406_220106155_09.jpg
KakaoTalk_20240406_220106155_10.jpg
KakaoTalk_20240406_220106155_12.jpg
KakaoTalk_20240406_220106155_15.jpg
KakaoTalk_20240406_220106155_17.jpg
KakaoTalk_20240406_220106155_18.jpg
자비경선

걷기명상 - 감각알아차리기
KakaoTalk_Photo_2022-01-24-13-47-55-1(0001).jpeg
자비경선(慈悲鏡禪)은 
자비선(慈悲禪) 명상의 한 종류로, **걷기 명상(행혜경선)**을 통해 심장의 박동을 알아차리며 나와 주변의 모든 존재가 '둘이 아닌 하나'라는 것을 깨닫는 수행법입니다. 특히, 걷는 동안 몸의 진동과 심장 박동을 관찰하며 모든 것이 무상(無常), 고(苦), 무아(無我)임을 알아차리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자비경선(慈悲鏡禪)은
'걸으면서 하는 명상(걷기 명상)'이며, '경선(鏡禪)'은 거울처럼 모든 것을 비추는 명상을 의미합니다. 심장 관찰: 걷는 동안 자신의 심장 박동을 무상, 고, 무아의 관점에서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나됨의 체험: 몸의 일부분(팔, 다리, 몸통 등)과 심장의 진동을 관찰하면서 '나'와 '세상'이 분리되지 않고 하나라는 것을 체험적으로 깨닫게 됩니다. 지혜와 자비의 증진: 이 수행을 통해 자비심을 기르고, 괴로움의 근본적인 해소를 목표로 합니다. 

‌연락처
Telephone : 063 545 8642
‌이메일
yelsang17@naver.com